[골프칼럼] <2361> 어드레스 변형이 실수 자초
중요한 시점에서 비장한 각오로 샷을 한다. 그러나 쪼르르 굴러 몇 야드 가지 못하고 벙커나 연못에 빠지면 골프채라도 분질러버리고 싶은 충동이 생기곤 한다. 최고의 샷을 기대하며 핀(홀)옆에 볼을 붙여 동반자(?)의 기를 죽이겠다는 마음이 문제 발생의 첫 번째 원인이다. 이미 설명했듯이 탑핑(topping)은 심리적인 측면에서 파생되며 특히 장타나 목표 지점이 가까울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. 다시 말해 볼을 오차 없이 목표에 보내려는 의식이 헤드업(head-up)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몸까지 위로 치켜 올리는 실수가 생겨난다. 특히 오르막을 향한 샷이나 내리막으로 샷을 해야 할 때 실수의 확률은 더 높아진다. 볼 위치나 주위 상황이 불안정할 때 심리적 부담이 따르기 때문이다. 현실적으로 이미 친 볼은 자신의 시선으로 그 행방을 확인한다 해도 결과가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이를 확인하려 하는 것은 일종의 악습이다. 탑핑의 원인은 첫째 헤드업, 둘째 볼 위치, 셋째 무릎의 펴짐(어드레스 변형) 등 크게 세 가지다. 이 중 실수하는 샷의 70%는 헤드업이며 잘못된 볼 위치 선정과 무릎의 펴짐이 각각 25%로 헤드업이 탑핑의 주범이다. 볼을 강하게 치려는 생각이 근육에 전달돼 몸을 경직시켜 헤드업을 유발, 결정적인 순간 탑핑을 주도하는 것이다. 이와 함께 무릎이 펴지면 악성 탑핑이고, 볼 위치까지 불안정하다면 생크(shank)로까지 치닫는 최악의 샷이 되고 만다. 또는 우 반신(오른발)을 틀어가며 백 스윙을 해야 함에도 오른쪽 무릎이 밀려나며(sway) 백 스윙을 시작하면 임팩트때는 여지없이 무릎이 펴지고 만다. 볼 위치가 너무 왼쪽으로 치우쳐 있거나 몸과의 간격이 멀어도 탑핑이 발생한다. 특히 오르막에서의 볼 위치가 왼쪽에 있을 때 자칫 탑핑의 원인을 제공한다. 따라서 볼에 대하여 스탠스 위치 확보에 신경을 써야 하며 다운스윙시 클럽 바닥면이 지나는 최하 점을 찾는데 주력해야 한다. 막상 스윙을 시작하면 무릎이나 허리가 그 높이를 유지 못하는 것이 탑핑이 주 원인이므로 최초의 어드레스 자세 때의 무릎높이를 임팩트까지 유지해야 한다. 내리막이나 오르막 상황이라면 풀스윙(full swing)보다는 ¾정도의 스윙이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한 클럽 길게 선택, 그립을 내려 잡고 스윙에 임하는 판단력도 있어야 한다. 골프장은 샷이 길어 생기는 함정보다 샷이 짧을 때 함정이 많게 설계되어 있다. 따라서 짧은 샷 보다는 약간은 긴 샷이 여러모로 유리하다는 뜻이다. ▶www.ThePar.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,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. 박윤숙 /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어드레스 변형 어드레스 변형 실수 자초 어드레스 자세